잘 놀던 아기가 갑자기 이유없이 짜증을 내고, 잘 먹던 밥도 먹지 않겠다고 거부하거나 잘 자던 잠도 자꾸만 깨기 시작하면 혹시 이앓이가 아닌가?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도 그럴것이 주변에서 공포의 이앓이라고 겁을 주기도 하고, 이앓이 할 때 애가 많이 칭얼 거렸다며 경험담을 하나 둘씩 들려주었거든요. 그때마다 추천을 받은것이 바로 이앓이 캔디였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오사닛캔디를 미리 구매해 두라는 이야기를 참 많이 들었던거 같아요. 오사닛 캔디가 정말 이앓이에 효과가 있을까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아기 이앓이 캔디는 정말 통증을 완화시켜줄까?
오사닛 캔디는 오사닛 캔디라는 이름보다 이앓이 캔디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진 캔디이지요. 이 캔디가 왜 이앓이 캔디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오사닛 캔디의 성분을 보니 자일리톨이 99.8%,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2%가 들어있더라구요.
재료는 참 별거 없어 보이는데요. 자일리톨이야 휘바휘바~ 하고 워낙에 광고를 많이 한덕분에 뭔지 알겠는데 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가 뭔가 싶더라구요. 이게 통증완화와 연관이 있는건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통증완화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습니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가 대체 뭘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약물의 캡슐을 만들거나 코팅을 하는데 사용되는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품첨가물중 하나입니다. 화학적 합성첨가물 중 하나로 주로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여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화학부형제 입니다.
주로 알약 형태의 원료가 기계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고, 손에 가루가 묻어나오지 않게 사용되고 있스빈다. 제품의 외형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이앓이 캔디의 경우, 자일리톨 가루들을 작은 알약의 형태로 만들어 손에 묻지 않게 코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이지요.
- 그렇다면, 부형제는 안좋은 성분인가?
화학적으로 만들어졌다 하니 괜히 우리 아이가 먹으면 안좋은 건 아닌가 하고 걱정이 되실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부형제는 안좋은 성분은 아니라고 합니다. 당연히 과다 섭취할 경우에는 복부팽만과 복부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는 근거로 HPMC 같은 부형제를 넣지 않았다는 광고를 하기도 하지만 알약 만으로 복부팽만이나 복부경련이 생길 정도의 양을 섭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통증 완화 성분이 없는 이앓이 캔디는 무슨 효과가 있는걸까?
성분을 살펴보면 통증을 완화해주는 성분은 전혀 들어있지 않지만 자일리톨이 침 분비를 촉진시켜 주어 침이 많이 분비되면서 잇몸 표면을 부드럽게 해주기 때문에 이앓이가 조금 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앓이 캔디는 그냥 자일리톨 캔디이니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니쓰 꿀정보 > 쉽지않은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싸개 언제까지 해줘야 할까? (0) | 2022.05.04 |
---|---|
아기 유산균 꼭 먹여야 할까? (0) | 2022.05.03 |
돌아기 영양제 꼭 먹여야 할까? (0) | 2022.05.01 |
돌아기 철분제 필요할까? (0) | 2022.04.30 |
돌아기 우유량, 돌아기 우유거부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2.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