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출산함과 동시에 엄마가 처음인 모든분들에게는 예측하지 못한 여러가지 상황이 생기곤 합니다. 아이가 갑자기 몇시간을 내리 우는데 원인을 알 수 없는 일도 있지요. 대게 특별한 원인 없이 아이가 우는 이러한 증상을 영아산통 또는 배앓이라고 합니다. 배앓이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아기 배앓이 증상, 신생아 영아산통 진단
흔히 배앓이라고 불리는 영아산통은 질병으로 분류되는 병이 아닌 증상입니다. 증상은 아기에 따라서 심할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영아산통인 배앓이가 심한 경우에는 생후 3~4개월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고 하나 대게 생후 4개월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합니다.
보통 아기가 배앓이를 하게 되면 나타나는 증상은 팔과 다리를 움직이며 무릎을 굽혔다 폈다 발버둥을 치면서 주먹을 꽉 쥐고 허리를 뒤로 젖혔다 앞으로 숙였다 하며 격하게 웁니다.
아기의 얼굴 표정을 보면 눈을 크게 떴다가 꽉 감았다 하면서 이마에 주름이 생길만큼 찡그리고 호흡이 가빳다가 멈췄다를 반복합니다. 아기가 다리를 발버둥 치듯 많이 움직이다 보니 장운동이 활발해져서 방귀를 많이 뀝니다.
잠깐 잠이 들었다가도 눈을 번쩍 뜨고 비명을 지르기도 하고 계속 뭔가를 빨고 싶은 듯 엄마젖을 빨리면 미친듯이 젖을 빨면서 진정이 되었다가도 다시 깨서 진정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렇게 배앓이 증상이 있는 경우 아무리 달래려고 해도 아기는 달래지지 않습니다.
배앓이로 진단하는 3가지 조건
1. 하루 3시간 이상 격하게 운다.
2. 1주일에 3일 이상 격하게 운다.
3. 증상이 3주간 유지된다.
* 위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일시적인 배앓이로 본다고 합니다.
아기 배앓이 해결 방법과 신생아 배앓이 원인
배앓이라고 불리는 신생아 영아산통은 보통 생후 2~3주에 시작이 되며 6주차부터 증상이 매우 심해집니다. 생후 12주 이전에 점점 증상이 줄어들면서 사라지게 됩니다.
다섯명의 아기 중 한명의 아기에게 나타나는 굉장히 흔한 증상 중 하나이지만 아이가 너무 격하게 울다보니 마음이 너무 아프고 증상이 매일 반복되다보면 아기를 보는 것에 두려움까지 생기기도 하지요. 배앓이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진게 아직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배앓이는 부모의 탓이 아니며 임신, 출산 중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것 또한 아니라고 합니다. 유전적인 문제도 아니고요. 시간이 지나면 없어지게 되는 증상일뿐이라고 합니다. 대게 아기가 100일쯤 되면 대부분 없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배앓이 해결방법은 배앓이 원인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배앓이로 아기가 많이 울고 있는 상태라면 아기에게 너무 안아주거나 흔들기보다는 바운서가 있는 경우 바운서에 아기를 눕히고 흔들어 아기 울음을 달래준 뒤에 아기가 좀 진정이 되면 아기를 가슴과 가슴을 맞댄 상태로 안아준 뒤 척추 지압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두번째로 아기는 아직 미성숙한 소화기관때문에 위나 식도로 역류를 하게 되는데 역류를 해도 울지 않고 불편하지 않게 뱉어낸다면 괜찮겠지만 역류로 인해 아기가 계속 운다면 역류방지쿠션에 아기를 재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식도 역류가 있는 아이는 첫번째 방법으로 마사지를 해주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오히려, 역류때문에 엎드려 있는 자세를 힘들어 한다고 합니다.
세번째로 배속에 가득 찬 가스로 인해 불편함을 느껴 계속 우는 아기는 모유수유나 젖병수유 시 공기를 같이 먹지 않을 수 있게 꼭 붙어 수유를 해주시고 잔트름까지 꼭 시켜주시는게 좋습니다. 가스가 배앓이의 원인으로 보여진다면 병원에 가서 X-ray 촬영 후 뱃속에 찬 가스를 확인한 뒤 가스를 빼는 약을 처방받아 먹이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출산하고 아직 회복도 다 되지 않은 몸상태로 밤낮으로 우는 아기를 돌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로 인해 산후 우울증이 생기기도 하고 엄마도 아빠도 힘든 나날을 보내게 되기도 하지요. 육아는 장기전인만큼 서로의 마음을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엄마 아빠가 행복해야 아이도 육아도 행복하게 할 수 있으니까요. 행복한 육아 하시길 바랍니다.
'우니쓰 꿀정보 > 쉽지않은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수유텀을 지키지 말아야 하는 이유 (0) | 2023.01.03 |
---|---|
아기 수면교육 시기와 방법 정리 (0) | 2022.06.01 |
아기 몬테소리 교육? 프뢰벨? 발도르프? 무슨 뜻일까 (0) | 2022.05.28 |
아기 기저귀 떼는 시기와 배변 훈련 방법 (0) | 2022.05.26 |
아기 이유식 소금간 하지 마세요! 언제부터 해야할까? (0) | 2022.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