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니쓰 꿀정보/쉽지않은 육아

영유아 건강검진 시기 늦게 갈수록 좋다?

by 우니쓰 2022. 5. 13.

영유아 건강검진은 생후 4개월부터 71개월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성장과 발달에 대한 건강검진입니다. 그런데, 제 주변에서 제게 해 준 말이 건강검진은 최대한 늦게 가야 결과가 좋다 였습니다. 과연 늦게 갈수록 좋은 걸까요? 늦게 가나 빨리 가나 사실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기간


영유아 건강검진은 생후 4개월부터 71개월까지 영유아 건강검진 1차부터 8차까지 받게 됩니다. 건강검진은 성인도 그렇지만 영유아도 지정된 건강검진 기관을 방문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검진시기 검진항목
1차 건강검진 생후 14~35일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청각,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건강교육(영양, 수면, 안전사고 예방)
2차 건강검진 생후 4~6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청각,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건강교육(영양, 수면, 안전사고 예방, 전자미디어 노출)
3차 건강검진 생후 9~12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청각,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발달선별검사 및 평가, 건강교육(구강, 정서 및 사회성, 영양, 안전사고 예방)
4차 건강검진 생후 18~24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청각,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발달선별검사 및 평가, 건강교육(대소변가리기, 전자미디어 노출, 개인 위생, 영양, 안전사고 예방)
구강검진 생후 18~29개월 구강문진 및 진찰, 구강보건교육
5차 건강검진 생후 30~36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체질량), 청각,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시력검사, 발달선별검사 및 평가, 건강교육(대소변 가리기, 정서 및 사회성, 취학 전 준비 교육(누리과정), 영양, 안전사고 예방)
6차 건강검진 생후 42~48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체질량), 청각(귓속말 검사),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발달선별검사 및 평가, 건강교육(영양, 안전사고 예방)
구강검진 생후 42~53개월 구강문진 및 진찰, 구강보건교육
7차 건강검진 생후 54~60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체질량), 청각, 시각 등 문진 및 진찰, 시력검사, 발달선별검사 및 평가, 건강교육(전자 미디어 노출, 영양, 안전사고 예방)
8차 건강검진 생후 66~71개월 신체계측(키, 몸무게, 머리둘레, 체질량), 청각, 시각, 예방접종 확인 등 문진 및 진찰, 발달선별검사 및 평가, 건강교육(취학전 준비, 영양, 안전사고 예방)

각각의 검진시기마다 문진표가 제공이 되고 그 문진표를 작성하며 아이가 잘 성장하고 있는지, 발달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게 됩니다.

 

 

그런데 왜 영유아 건강검진을 늦게 가라는 말이 나올까요? 아이마다 성장발달하는 속도가 다르다 보니 내 아이가 혹시나 늦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 엄마 입장에서는 큰 걱정거리가 아닐 수가 없겠지요. 늦다는 말을 듣고 싶지 않다 보니 최대한 검진 시기를 꽉 채워 늦게 가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늦게 가는 것이 별 의미가 없습니다. 건강검진 시기를 보면 폭이 꽤 넓습니다. 3차의 경우 9~12개월, 4차의 경우 18~24개월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차수의 검진이라 할지라도 방문하는 아이의 월령에 따라 문진표가 다르게 제공됩니다.

발달 선별 검사에 사용되고 있는 K-DST는 각 분야의 점문가들이 모여 해당 월령에 적합한 문진표를 따로 만들어서 건강검진을 실행하고 있고 체중과 머리둘레 백분위 또한 소아청소년 성장 도표를 근거로 하여 검진을 받으러 간 아이의 월령과 동일한 아이들의 수치를 근거로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검진을 늦게 가든 빨리 가든 큰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문진표 작성 방법


  1.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 문진표 출력 후 작성하여 병원에 제출하는 방법
  2. 병원에 내방하여 문진표를 작성 후 제출하기
  3. 건강 in 앱에서 영유아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 후 전송하는 방법
  4. 똑닥 앱에서 영유아 건강검진 문진표 작성하는 방법(똑닥 앱 이용 가능 병원만 해당)


1번 방법으로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URL로 접속 후 아이의 출생년월일을 입력한 뒤 조회를 눌러 해당 차수의 건강검진 문진표를 인쇄 후 작성하시면 됩니다.
https://www.nhis.or.kr/nhis/healthin/retrieveInfntExmdDtInq.do

 

영유아 검진일자 조회 / 문진표 서식 < 영유아건강검진 < 건강검진 실시안내 < 건강검진정보 < 나

<!-- 영유아 건강검진 안내 영유아 검진일자 조회 / 문진표 서식 발달선별검사지 안내 발달선별검사지 사용기간조회/검사지 서식 --> 주의사항 안내 영유아검진은 검진기간 내에서만 받을 수 있

www.nhis.or.kr

 

저는 3번을 가장 선호하는 편인데, 제가 이사를 오고 처음 방문한 소아과에서는 3번 방법을 아예 시행하고 있지 않아 2번 방법으로 작성을 해야 했는데 집중하기도 쉽지 않고 참 당황스럽더라고요. 3번을 시행하지 않는 병원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번 방법 역시 똑닥이라는 쉽게 설명하면 병원 예약이 가능한 어플이 있는데 이 어플로 예약이 가능한 병원일 경우 똑닥 어플에서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건강검진 문진표를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하니 아이 건강검진을 가시기 전에 어떤 질문들이 있는지 미리 확인해보시고 내 아이가 할 수 있는지, 없는지 집에서 시켜 보시면 건강검진 문진표 작성에 더 도움이 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서 출력 및 조회 방법


영유아 건강검진을 잘 받고 어린이집이나 기관 입소를 위해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서를 제출 용도로 출력을 해야 한다면 문진표를 작성했던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보안으로 사이트 내에 캡처가 막아져 있어서 캡처를 할 수 없네요.

 

  • 건강검진 결과서 출력 및 조회 방법
메뉴에서 건강 in - 가족건강관리 - 자녀(영유아) 건강검진정보 - 결과 조회 - 해당 건강검진 회차 선택 후 인쇄

 

건강검진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공인인증서를 반드시 설치해 두신 뒤에 해당 기능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하시는 게 더 번거롭다고 느껴지신다면 건강검진을 실시했던 병원에 방문하여 직접 발급을 받으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어린이집에 따라 동의를 얻어서 직접 조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어린이집에 문의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